본문 바로가기

Da3

SA, DA 광고 특징 및 성과를 올리는 방법 SA, DA 광고 특징 및 성과를 올리는 방법 SA광고 뜻과 특징 SA광고는 Search Advertising의 약자로, 검색엔진에서 검색어를 검색한 사람에게만 노출되는 광고입니다. 과금방식 : CPC(클릭당 과금)/CPP(기간당 과금)/CPT(시간당 과금) 광고주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를 검색한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됩니다. SA광고의 특징 1. 타겟팅이 용이합니다. SA광고는 광고주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를 검색한 사용자에게만 광고가 노출됩니다. 따라서 광고주가 원하는 타겟층에게만 광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2.높은 전환 효과 SA광고는 사용자가 검색한 결과와 함께 노출되기 때문에, 이미 관심도가 어느 정도 있는 사용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SA광고는 사용자.. 2023. 8. 14.
온라인 광고 소재 종류(검색광고, DA) 온라인 광고소재 종류, (검색광고, DA) #키워드설정 #온라인광고 #검색광고 #DA #파워링크 #쇼핑광고 #네이버 #카카오 #GDN 온라인 광고 용어 Imps : 노출수 View (성과형) : 조회수 Click (성과형) : 클릭수 Conversion :전환수 CPM : 노출 당 단가 CPV : 조회 당 단가(View) CPC : 클릭 당 단가 CPA : 전환 당 단가(Action) CTR : 클릭률 VTR : 조회율 CVR : 전환율 유형별 광고소재 알아보기 온라인 광고 유형의 분류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SNS광고 유튜브광고 검색광고 파워링크, 브랜드검색, 쇼핑광고 이용자가 특정 검색어를 검색할 때 검색어와 연관된 광고를 보여주고 광고주의 웹사이트로 연결해주는 유저 중심 광고 네이버 63% 구글 2.. 2023. 6. 19.
광고 집행 전략 광고 집행 전략 디지털 마케팅 전략 수립 바로가기 온라인 광고 트렌드 자사 데이터 활용 분류 1st Party Data 자사 솔루션으로 모든 고객들을 통해 직접 수집하는 데이터 앱 또는 웹 사이트에서 수집한 유저 데이터 고객이 제공한 데이터 고객관리 데이터(CRM 데이터) 2nd Party data 외부소스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구매하여 활용하는 데이터 1st의 데이터와 비슷하지만 본인의 잠재고객이 아닌 소스의 데이터 고객 설문조사 데이터 소셜미디어 데이터 3rd Party data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업과 정보가 수집되는 고객이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정보를 뜻함 특별한 트래커를 통해 1st, 2nd 외 다양한 플랫폼으로부터 확보하는 대규모 데이터 유저의 특정 Action과 상세 데이터 매체 전략 SNS.. 2023. 6. 15.